현실 세계와 AR 콘텐츠를 연결해 주는 도구
- 어떻게 작동하나요?
- 기기의 카메라와 센서, GPS 정보를 사용해서 기기의 현재 위치와 주변 환경을 파악합니다.
- 그 정보를 Google의 시각적 위치 확인 시스템(VPS)에 보냅니다.
- VPS는 Google 스트리트 뷰 데이터를 참고해, 정확한 위치를 계산합니다.
- 뭘 할 수 있나요?
- 예를 들어, 전 세계 어디에서든 특정 건물, 거리, 랜드마크 같은 장소에 AR 콘텐츠를 배치할 수 있습니다.
- 이 콘텐츠는 현실 공간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사람도 같은 장소에 가면 그 콘텐츠를 볼 수 있습니다.
- 좌표 시스템 병합
- VPS에서 제공하는 위치 정보(지구 좌표)를 사용자의 앱에서 사용하는 로컬 좌표와 연결해, 현실 세계와 AR이 자연스럽게 어우러지게 만듭니다.
Geospatial API 작동
스트리트 뷰 사진과 똑똑한 인공지능(AI)을 이용해 기기의 위치를 엄청 정확히 찾아내는 기술
- 어떻게 만들어졌나요?
- Google 지도에 사용된 15년 이상의 스트리트 뷰 사진을 기반으로 해요.
- AI가 사진 속에서 변하지 않을 만한 특징(예: 건물 모양, 표지판)을 찾아내요.
- 그런 특징들을 모아 전 세계를 3D 지도처럼 만들어 놨어요. (이걸 3D 포인트 클라우드라고 불러요.)
- 이 3D 지도는 계속 업데이트되고, 앞으로 거의 모든 나라에서 쓸 수 있게 될 예정이에요.
- 사용자가 Geospatial API를 쓰면?
- 여러분의 기기(스마트폰)가 카메라로 주변을 찍고 AI가 사진 속 특징을 분석해요.
- 이 정보를 Google의 3D 지도와 비교해서 현재 내 위치와 방향을 정확히 찾아내요.
- 왜 더 좋은가요?
- 기존 GPS는 위치를 몇 미터 정도 오차로 알려줬어요.
- Geospatial API는 스트리트 뷰와 AI 덕분에, 훨씬 더 정밀한 위치와 방향을 계산할 수 있어요.
VPS(Visual Positioning System)
GPS의 친구 같은 기술인데, 눈으로 위치를 찾는 방식이에요. GPS는 위성을 통해 위치를 파악하지만, VPS는 카메라와 이미지를 사용해 더 정밀하게 위치를 찾아줍니다.
VPS가 하는 일:
- 카메라로 주변을 스캔:
- 스마트폰이나 기기가 카메라로 주변 풍경(건물, 표지판, 도로 등)을 봅니다.
- 특징을 분석:
- 카메라에 보이는 이미지에서 독특하고 변하지 않는 특징을 찾습니다. 예를 들면, 건물 모서리나 간판 모양 같은 거예요.
- Google의 3D 지도와 비교:
- 이 특징들을 Google 스트리트 뷰 데이터에서 만든 3D 지도(포인트 클라우드)와 비교합니다.
- “아! 이건 이 건물이니까, 여기는 바로 이곳이네!” 하고 위치를 알아냅니다.
- 위치와 방향 계산:
- VPS는 카메라가 보고 있는 특징을 기반으로 현재 위치와 기기가 어느 방향을 보고 있는지를 GPS보다 훨씬 더 정밀하게 파악합니다.
예시로 이해하기:
GPS vs VPS
- GPS: “여기 근처야. 한 10미터 반경쯤?”
- VPS: “여기 빌딩 입구 앞이야. 오른쪽은 스타벅스, 왼쪽은 버스 정류장이 있어.”
사용 사례:
- AR 내비게이션: 길을 걸을 때, 카메라를 비추면 AR 화살표가 길 위에 정확히 표시됩니다.
- AR 콘텐츠: 특정 장소에 고정된 AR 오브젝트(예: 공원에 있는 가상 캐릭터)를 정확히 배치합니다.
Geospatial API로 앵커와 지리정보 앵커 유형
Geospatial API로 앵커를 배치한다는 것은,
현실 세계의 특정 위치(예: 건물, 길, 공원 등)에 AR 콘텐츠를 고정시키는 것을 말해요.
여기서 앵커는 현실 공간의 위치와 AR 오브젝트를 연결하는 역할을 해요.
1. Geospatial API가 다른 ARCore API와 다른 점
- 기존 ARCore Cloud Anchor API는 기기가 로컬 환경(방, 특정 공간 등)을 스캔해서 앵커를 배치했어요. 즉, 직접 공간을 매핑해야 했죠.
- Geospatial API는 더 간편해요. 위도, 경도, 고도만 있으면 전 세계 어디에나 앵커를 배치할 수 있어요. 공간을 미리 스캔하거나 매핑할 필요가 없어요.
2. 앵커의 위치 정보
- Geospatial API는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좌표 시스템인 WGS84 사양을 사용해요.
- WGS84는 지구 표면을 수학적으로 표현한 모델인데, 여기서 위도(lat), 경도(lon), **고도(alt)**를 이용해 위치를 나타내요.
- 예:
- 위도: 북쪽/남쪽으로 얼마나 떨어졌는지
- 경도: 동쪽/서쪽으로 얼마나 떨어졌는지
- 고도: 지표면에서 얼마나 높은지
3. 지리정보 앵커의 3가지 유형
Geospatial API를 이용해 앵커를 배치할 때, 연결할 위치에 따라 3가지 유형의 앵커를 선택할 수 있어요:
- WGS84 앵커
- 정의: 지구 표면을 기준으로 위도, 경도, 고도를 지정.
- 사용 예시: 공원 한가운데에 AR 캐릭터를 배치.
- 지형 앵커 (Terrain Anchor)
- 정의: 지면이나 층 같은 땅의 높이를 기준으로 위도, 경도, 고도를 지정.
- 사용 예시: 언덕 위에 AR 오브젝트를 고정하거나 도로 위에 화살표를 배치.
- 루프톱 앵커 (Rooftop Anchor)
- 정의: 건물의 꼭대기를 기준으로 위도, 경도, 고도를 지정.
- 사용 예시: 건물 옥상에 AR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빌딩 위에 가상 구조물 배치.
구형좌표계와 투영 좌표계
VECTOR3의 DISTANCE 처럼 구하면 안됨
같은 평면이였을땐 괜찮지만 구체면 외곡이 발생하기 때문에!
TM (Transverse Mercator) 좌표계 위도 적도 단위!
대한민국에서 GPS 위도와 경도를 평면 좌표계의 x, y 좌표로 변환하려면,
보통 UTM (Universal Transverse Mercator) 좌표계 또는 TM (Transverse Mercator) 좌표계를 사용합니다.
이 방법은 구면인 지구의 표면을 평면으로 투영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https://freddiekim.tistory.com/109
8/22 - gps 위도 경도 와 차량 정보를 이용해서 계산하기
한국에서 위도 경도를 이용해서 x,y값을 계산하고 칼만 필터를 이용해서 글로벌 좌표계로 변환하면 될것 같다. 대한민국에서 GPS 위도와 경도를 평면 좌표계의 x, y 좌표로 변환하려면, 보통 UTM (U
freddiekim.tistory.com
위도와 경도의 단위
https://redbadastory.tistory.com/34
위도경도 표기방법 및 표기법간 변환방법
* 경위도 좌표포맷(Position Format)일상생활에서 1도(°)는 매우 작은 각도라고 볼 수 있다.하지만 위도 1° 차이는 지표면에서 약 111km 거리에 해당한다.그러므로 경위도 좌표계를 통해 좀 더 정확
redbadastory.tistory.com
참고
호환되는 기기 확인
https://developers.google.com/ar/devices?hl=ko
ARCore 지원 기기 | Google for Developers
ARCore를 지원하는 Android 및 iOS 기기의 목록을 가져오거나 CSV 파일을 다운로드합니다.
developers.google.com
Geospatial API 개념
https://developers.google.com/ar/develop/geospatial?hl=ko
ARCore Geospatial API를 사용하여 세계적인 규모의 몰입형 위치 기반 AR 환경을 구축하세요 | Google f
ARCore Geospatial API를 사용하여 Google 스트리트 뷰가 적용되는 지역에 원격으로 콘텐츠를 첨부하고 전 세계를 아우르는 AR 환경을 만드는 방법을 알아보세요.
developers.google.com
https://www.biz-gis.com/index.php?document_srl=67335&mid=pds
좌표계 변경 시 지리적 변환(Geographic Transformation) 설정 - 자료실 - 주식회사 비즈GIS (BIZ-GIS Inc.)
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 대표적인 타원체는 Bessel1841타원체, GRS80타원체 및 WGS84타원체가 있습니다. 그 중 GRS80타원체와 WGS84타원체는 장반경에서만 1mm의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단반경, 편평률이
www.biz-gis.com
https://blog.tadadakcode.com/3
좌표계에 대해 간단히 정리
일단 좌표계 라고 찾아보면, 국내만 쳐도 정말 다양한 종류의 좌표계가 존재하는 걸 알 수 있다. 얘네들의 차이를 제대로(?) 알려면... 깊은 수학적 소양을 요구해 쉽게 이해하기 힘들다. 개인적
blog.tadadakcode.com
위도 경고 고도 이미지
https://tstory.tistory.com/554
'유니티 > 개념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CPU 처리량(연산 부하) 와 메모리 (0) | 2025.03.25 |
---|---|
[엑셀] 파일 열면 ~$파일명.xlsx 파일이 생기는 이유 (0) | 2025.02.18 |
unity Publishing Settings (퍼블리싱 설정) - Build (Gradle(그레이들),Android Manifest(매니페스트 개념)) (1) | 2025.01.14 |
ARCore 기본 개념정리 (SLAM, IMU, UI/UX 디자인, 주의사항) (1) | 2025.01.13 |